DAEDONG 대동 DAEDONG

대동 스토리대동 NEWS

우리 농업의 미래를 열어나가는 대동의 최신 소식들을 모았습니다

  1. HOME
  2. 대동 스토리
  3. 대동 NEWS
대동뉴스

대동, AI로봇 S/W전문 회사 ‘대동에이아이랩’ 설립

2024-05-27 | 조회수 1,108

“AI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글로벌 리딩 로봇 기업으로 확장”

대동, AI로봇 S/W전문 회사 ‘대동에이아이랩’ 설립

 

-. AI로봇 역량 내재화로 미래사업 가속화 목적, 농업/비농업 자율작업 로봇용 AI 모델 개발

-. 올해 하반기 출시하는 농용/방제 로봇부터 AI기술을 탑재해 향후 수확/청소 로봇으로 확대

-. 28년까지 농업/비농업 등 다분야의 로봇 제품 개발과 로봇 구독 서비스 시스템 구축 목표

-. 신설 회사 대표이사는 나영중 대동 AI플랫폼부문장 낙점. CTO로 AI전문가 이범우씨 영입

 

미래농업 리딩기업 대동(대표이사 원유현)이 AI 로봇 전문 회사 대동에이아이랩(Daedong AI Lab)을 설립해 계열사로 추가하고, 대동그룹의 AI기술 내재화와 자율주행과 로봇 AI 시스템 개발에 속도를 높인다고 27일 밝혔다.

 

대동은 미래농업 리딩기업 비전에 입각해 그간 스마트 농기계&팜&모빌리티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해 왔고, 그 성과를 한 차원 끌어올리기 위해 최신 AI 기술을 적용한 VLA(Vision-Language-Action) 모델[1] 기반 AI 로봇 제품 상용화를 본격 추진한다. 관련해 대동은 지난 2년간 관련 기술의 선행 연구를 통해 가능성을 확인하고 대동그룹의 모든 제품 라인의 AI 로봇 대전환을 본격화하기 위해 AI 전문 연구 기업 대동에이아이랩을 설립했다.

 

 

대동그룹은 전세계적인 노동력 부족과 이상 기후에 대응한 생산성 혁신 대안으로 수요가 폭증하고 있는 농용 로봇과 옥외 작업용 산업로봇 분야에 로봇 사업 역량을 집결하기로 하였다. 관련해 국제로봇연맹(IRF)에 따르면 22년 324억 달러인 세계 로봇시장은 28년 433억 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대동그룹은 지난 77년간 축적한 농업/비농업 기계, 장비 제조 경쟁력에 AI 로봇 S/W 기술을 접목해 글로벌 농산업 로봇 시장을 충분히 리딩할 수 있을 것이라 보고 있다. 

 

여기에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 기술을 대동의 커넥티드 서비스(농업 텔레메틱스 서비스)을 비롯해 노지 정밀농업, 시설 스마트 파밍&푸드테크, 그린바이오 등 첨단 농산업 분야 전반에 확산 적용해 국내 농산업의 AI화, 첨단 무인 농업화도 선도할 계획이다. 

 

대동에이아이랩은 로봇에 탑재되는AI 범용 로봇 S/W R&D 기업을 목표로 운영된다. 이를 위해 대동, 대동모빌리티, 대동애그테크 등과 협업해 머신러닝 운영체계를 포함해 농기계 및 모빌리티의 자율주행 통합 제어 시스템 ADCU(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2]와 농용과 산업 로봇을 위한 자율로봇 제어 시스템 ARCU(Autonomous Robot Control Unit)[3] 등의 AI 시스템을 개발한다. 대동은 이를 올해 하반기 출시 예정인 농용 로봇에 적용하기 시작해 25년부터는 AI 시스템 기반의 지능화, 자동화, 무인화 기능을 탑재한 농용과 옥외 작업용 산업 로봇을 단계적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 대동에이아이랩은 AI Foundation Model, 로봇용 NPU 기반의 AI 경량화, 클라우드 ML-Ops (머신러닝 운영시스템)을 자체 개발한다. 이를 통해 SaaS(Software as a Service) 기반의 온디바이스 AI 사업을 본격화해, 오는 28년까지 농업, 건설, 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로봇 개발과 로봇 구독 서비스(Robot as a Service, RaaS) 시스템 구축해 그룹 AI 전문 S/W 기업으로 도약하고자 한다.

 

그룹을 총괄하는 원유현 대동 대표이사는 “22년을 기점으로 급속히 발전하는 AI 기술은 전 산업군에 많은 변화와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고, 대동에이아이랩은 대동과 그룹을 미래농업 리딩기업으로 도약시키AX(인공지능 전환·AI Transformation)의 핵심요소가 될 것”이라며 “하반기 출시 예정인 농용 운반 로봇(9월), 방제 로봇(12월), 로봇모어부터 대동의 AI기술을 탑재하고, 향후 수확 로봇, 청소 로봇 등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덧붙여 “대동은 에이아이랩, 대학, AI스타트업 등과 개방적 협력을 통해 스마트 농기계&팜, 스마트 건설기계(CCE), 로봇 등 미래 핵심 산업에 AI를 적용해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여 고객의 비용, 시간, 노동을 줄여 가치를 제공하는 AI기반 지속성장기업으로 나아가겠다” 고 밝혔다.

 

한편, 대동에이아이랩의 대표이사는 나영중 대동 AI플랫폼사업부문장이 맡는다. 나전무는 국내 최초 영상기반 차량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을 경영하고, 이후 글로벌 B2B 플랫폼을 개발 운영한 플랫폼 사업 전문가로 지난 22년 대동에 합류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를 추진하고, AI플랫폼 사업을 맡아 자율주행 농기계 개발, 노지&온실 정밀농업 서비스 개발, 농업 솔루션 플랫폼 ‘대동 커넥트(Connect)’ 구축을 주도해 대동의 미래농업 사업의 기틀을 만드는데 일조했다.

 

대동에이아이랩의 최고 기술 책임자(CTO)에는 서울대 물리학 학사와 석사를 전공하고 LG화학 기술연구원에서 AI 기반 영상분석 기술 연구와 시뮬레이션을 담당한 이범우씨를 영입했다. 이소장은 LG화학을 거쳐 AI 영상 분석 플랫폼 기업 휴먼아이씨티에서 기술연구소장을 맡아 AI기반 CCTV 자동 관제 솔루션과 코어 알고리즘 등 연구를 진행했다. 이후, AI영상분석 스타트업을 운영한 AI전문가이다.


 


[1] VLA AI 모델은? 올해 본격적으로 시연되고 있는 테슬라나 Open AI의 휴머노이드 로봇에 적용되는 기술로서 농기계, 산업용 장비, 모빌리티 등의 기기들이 인간과의 실시간 소통을 기반으로 주변환경과 필요 작업을 스스로 인지-판단하여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핵심이다

[2] 센서 데이터 처리, 주행 경로 계획, 차량 제어, 안전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합해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시스템

[3] 센서, 액추에이터, 제어 알고리즘, 통신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통해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로봇의 동작을 계획하고 조정하는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