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편하게 수확하고 다음 농사는 똑똑하게 준비하세요
이제, 데이터 기반 정밀농업이 열립니다
[ 국내 유일 수확량 모니터링 자율 작업 콤바인 ]

국내 유일 자율 작업 기술로
수확의 효율이 올라갑니다

수확량 모니터링으로
농가 경영이 스마트해집니다
이제, 데이터 기반 정밀농업이 열립니다
[ 국내 유일 수확량 모니터링 자율 작업 콤바인 ]
국내 유일 자율 작업 기술로
수확의 효율이 올라갑니다
수확량 모니터링으로
농가 경영이 스마트해집니다
수확 작업 중에도 구획별로 수확량이 많고 적음을 색깔로 구분해서 보여주는
수확량 맵을 통해 향후 변량 시비에 활용 할 수 있어, 올해 수확량을 바탕으로
차기 농사까지 계획하는데이터 기반의 농가 경영이 가능해집니다.
대형 모니터를 통해 유입되는 곡물의 중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배출 기준 5분 이내에 [대동 커넥트] 앱에서 최소 5mx5m / 최대 20mX20m 크기의 구획별 컬러맵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수확량 맵 생성을 위한 유의 사항
1. 배출 전 중량 측정 버튼을 눌러 총 중량 측정 진행
2. 배출은 작업한 농지에서 시행
(수확한 필지가 아니거나, 필지 밖에서 배출 시 맵 생성 불가)
텔레매틱스 기술을 기반으로 농기계의 위치와 상태를 한 눈에 확인하고 작업 이력 데이터화부터 소모품 교체 주기 알림까지 농업의 효율을 높여줍니다. 전복 감지, 안전구역 설정 등을 통해 농기계와 작업자의 안전까지 책임집니다
차랑별 매뉴얼, 언제든 질문이 가능한 농업 GPT AI 대동이,대리점에서 내 농기계의 위치와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 등 스마트한 기능들이 제공됩니다
경작지 형태에 따라 사용자가 선회 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마지막에는 X턴을 자동 지원해, 복합 선회를 수행합니다.
대동만의 자율작업 기술이 최적 경로를 제공해주어 미작업구역을 최소화하고 작업 효율성을 높여줍니다.
정사각형 형태의 경작지에 적합한 알파턴을 선택하더라도 마지막에는 X턴을 자동 적용합니다.
정사각형 형태 경작지에 추천
작업 효율을 위해 마지막 경로 상시 적용
단변이 짧은 형태의 경작지에 적합한 C턴을 선택하더라도 마지막에는 X턴을 자동 적용합니다.
단변이 짧은 형태 경작지에 추천
작업 효율을 위해 마지막 경로 상시 적용
자동과 수동으로 모두 다양한 형태의 경작지 생성을 간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외부 가베기 1회로 경작지를 자동 인식하거나, 가베기 과정에서
원하는 지점 최소 4개를 설정하면 해당 형태로 경작지가 설정됩니다.
내부 가베기 2회를 수동 작업한 뒤에는 자율 작업이 진행됩니다.
사전에 배출 장소를 지정해두면 곡물탱크 만충 시 화면 터치만으로 알아서 최적 경로를 찾아 배출장소로 이동합니다.
C턴 선회 주행 선택 시 중분할 기능을 지원하며,
자율주행 필지를 500평 기준으로 분할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 사전 조건 : 자율주행 작업 영역이 500평 이상인 경작지
• 조작 방법 : 선회주행 C턴 선택 후 중분 버튼으로 경로 생성
자율작업 중 예취 라인이 어긋나는 경우 자율작업 모니터와 암레스트에 있는 버튼 조작만으로 손쉽게 작업 경로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경로를 5cm 단위로 이동해 자율작업의 빈틈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지면 대응 센서가 지면의 굴곡에 따라 예취부를 자동으로 승하강 시켜주는기능을 제공해, 자율작업 중에도 별도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예취 높이가 조절됩니다
자체 협력사 및 국토지리 정보원 기준국의 데이터를 동시에 활용하고 타사 대비 4배 많은 기지국을 통해 24시간 전국 어디에서나 끊김 없는 통신을 제공합니다. 또 듀얼 GNSS 안테나가 외부 환경이 악조건일 때에도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정확한 추종이 가능합니다.
대리점에 가지 않아도 시동만 켜면 365일 어디서나 최신 자율작업 기능으로 업데이트됩니다. 언제나 가장 진화된 성능의 농기계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이탈리아의 세계적인 엔진 전문 기업 FPT Industrial 사의 STAGE 5 친환경 엔진을 탑재해 동급 제품 최고 수준인 출력 143마력의 퍼포먼스를 보여줍니다.
주행 중에도 멈출 필요 없이 버튼 하나로 변속할 수 있는 논스탑 부변속 기능 2 SPEED HST를 탑재하였습니다.
주행부와 예취부가 독립된 구조라 곡물의 상태나 밀도에 맞춰 주행속도에 따른 최적의 예취 속도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도복 / 습전 상태에서 저속 주행 할 때는 예취 속도를 빠르게 하고 모서리에서는 정지 상태로 예취하는 등 빈틈 없이 수확할 수 있습니다.
총 2,000L까지 커진 대용량 곡물 탱크로 한 번에 많은 양을 작업할 수 있어 배출 횟수를 최소화해 작업 시간이 단축됩니다.
트랙 롤러 증가(8->9)로 접지면적이 늘어나 접지력 강화, 수평 성능 강화, 높아진 밋션 하부 지상고로 다양한 지형에 대응이 가능합니다.
화살표 버튼을 눌러 DH6135-A을 확인해보세요.
자율작업을 위한 12.3인치 모니터를 추가로 장착했습니다. 사용자가 조작이 편한 터치스크린으로 자율작업 제어부터 기록 확인, 수확 중 중량 확인까지 모두 가능하며, 인포테인먼트 기능이 강화되었습니다.
전방과 우측방 시계폭을 넓혀 일어설 필요 없이도 앉은 상태로 탁 트인 시야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LED등을 활용해 야간 작업의 능률을 높였습니다.
캐빈 중앙의 10인치 대형 터치 계기판을 통해 곡물 배출 시에는 오거 선단 카메라로 자동 전환되어 곡물 배출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후진 시에는 후방 카메라로 자동 전환되어 상황을 직접 볼 수 있습니다.
예취높이 자동/ 예취 퀵페달, 예취 변속, 원터치 승하강 등 수확 작업에 필요한 버튼을 직관적으로 배치해 수확작업이 더 편리해집니다.
예취 높이 볼륨 스위치(저-고)로 높이 조절
페달 밟으면, 예취부 회전해 흘리지 않고 작업
버튼하나로 빠른 예취 변속 가능
버튼 하나로 예취 높이 자동 조절
국내 콤바인 중 유일하게 스마트 키가 탑재되었습니다. 스마트키의 곡물배출 버튼으로도 배출 작업이 가능해 편리합니다.
오거 조작 유선 리모컨이 있어 오거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며 배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캐빈이 앞쪽으로 틸팅되기 때문에 정비 시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쉽습니다.
배터리 점프단자를 별도로 탑재해 장기간 보관 및 배터리 방전 시 쉽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고정핀 해제만으로 손쉬운 오픈 가능
끼임 현상 발생시 신속 해결 가능
DH6135-A를 최고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만드는 방법을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주 사용 용도 | 수도작(논) |
---|---|
구분 | DH6135-A |
호칭마력(ps) | 142.7 |
길이(mm) | 4,990 |
폭(mm) | 2,345 |
높이(mm) | 2,850 |
중량(kg) | 5,100 |
최저지상고(mm) | |
명칭 | FPT(F36) |
형식 | 수냉 4기통 |
총배기량(cc) | 3,595 |
최대출력(kw/rpm) | 142.7/2,300 |
연료탱크용량(ℓ) | 120 |
작업속도 (도폭x표준x주행)(m/s) | 1.7 |
변속방식 | HST |
크롤러 중심거리(mm) | 1,255 |
예취조수 | 6조 |
예취폭(mm) | 1,980~2,042 |
예취변속 | HST3단 X 인기 3단 |
적응작물범위(mm) | |
도복적응성 (마주×따라)(도) | |
예취 구동 HST | ○ |
탈곡방식 | |
탈곡통 지름×폭(mm) | 424x1,100 |
탈곡통 회전수(rpm) | 507 |
확산통, 2번 처리통 | |
탈곡곡물 출하방식 | |
곡물탱크 용량(ℓ) | 2,000 |
곡물 배출 속도(초) | 90 |
자동예취높이제어 | ○ |
자동엔진정지 | |
차체 수평제어 | ○ |
언로더 자동선회 | |
언로더배출위치 선택 | |
예취오토클러치 | |
예취/탈곡파워클러치 | ○ |
예취오토리프트(백업) | |
배출 짚 확산 | |
집중장치 | |
비상엔진정지 | |
곡물진동배출 | |
오거 우회전 | ○ |
언로더 유선 리모콘 | ○ |
예취부 원터치 상승 | ○ |
배터리 차단 스위치 | ○ |
후방카메라(캐빈) | ○ |
텔레매틱스 | ○ |
기타 | 집중주유장치, 스마트키, 오거 선단 카메라, 대형 그래픽 계기판, 배터리 점프 단자, 캐빈 Open 기능, 끌어올림 카바 Open 기능, 예취 퀵 페달, 곡물탱크 원터치 Open, LED 작업등, 멀티커터 DH6135-A 추가 기능 수확량 모니터링, 자율작업 A-MOTION (OTA), 듀얼 GNSS안테나, 자율작업 모니터, 라인시프트버튼, 지면대응센서 |
* 상기 제원 및 사양은 제조사에서 제품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예고 없이 변경 될 수 있습니다.